"이시국"이란 단어 많이 들어보셨지요? 한일간 무역갈등으로 시작된 대한민국과 일본간의 신경전은 2020년 설이 지난 시점에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"데상트" "대마도" "유니클로" 등 등 아직도 불편하기만 합니다. "과거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" 라는 말이 누가 한 것인지 명확하지가 않다고 하지만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적지 않습니다.
2020년 설 연휴 마지막 날, SNS 및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거론되고 있는 "구정"이란 단어에 대해서 정확한 내용이 궁금해 졌습니다. "설"이 맞는지 아니면 "구정"이라 해도 되는지 필자 역시 정확한 지식으로 배운적이 없는 터라 다양한 웹사이트에 있는 내용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![]() |
설날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눈 |
"설" 혹은 "설날"의 기원
설날은 해(年)의 한 간지가 끝나고 새 간지가 시작되는 날로, ‘설’은 ‘설다’, ‘낯설다’, ‘익숙하지 못하다’, ‘삼가다’ 등의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 (출처 : 위키백과)
"설"에서 "구정"으로
을미개혁(1895년)과 함께 음력에서 태양력으로 전환하면서, 1896년 1월 1일을 "설날"로 지정 했습니다. 총독부는 일본과 동일한 양력 "설"을 강요하기 위해 "구정"이라 부르기 시작합니다. 해방 후에도 이승만 정부는 양력설만을 공휴일로 지정하고 "신정단일과세" 정책을 지속합니다.
![]() |
크리스마스엔 원주 기업도시 "라스베이거스" |
음력설 다시 설날로
의외로 음력설이 설날로 재 지정된것은 얼마되지 않습니다. 1985년 음력설을 공휴일 지정과 함께 다시 "설날"로 부르게 된 것이지요. 이전까지만해도 "구정" 혹은 "민속의 날"로 불렸다고 합니다.
민족 최대명절 "설"
우리 민족 4대 명절(설, 추석, 한식, 단오) 중 하나인 설은 음력으로 1월 1일(정월 초하루라 함)을 의미합니다. 최대 명절인만큼 차례(조상에게 감사하는 의식)를 지내고, 설빔을 입습니다. 지금은 보기 힘들지만, "복조리" 를 걸어 행운을 기원하기도 했습니다. 대표적인 "설날" 놀이로는 "윷놀이" 가 있습니다.
설과 추석 차례상 |
어렵게 되찾은 "설"
민족의 특징을 잃어버리는 것은 쉽습니다. "기와집" "방패연" 등 등 우리민족만의 특징을 담은 전통적인 유무형 자원들이 많습니다. "설" 역시 우리민족에게 있어 중요한 자원입니다. "구정"이라 부른다해서 민족의 정신을 부정하는 것도 아니겠지만, 많은 고난 속에서 다시 되찾은 우리민족만의 특징인만큼 음력설을 "설날" 로 불러보는 것이 어떨까요?
* 필자 역시 배우기 위해 여러 곳의 정보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. 혹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.
* 필자 역시 배우기 위해 여러 곳의 정보를 읽고 정리한 글입니다. 혹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.
글/사진 : 풍류 주필
إرسال تعليق